선불로 상조서비스에 가입했는데, 상조회사가 문을 닫아서 피해 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기한이 지나서 돌려받을 수 없는 돈이 무려 500억이 넘는다고 합니다.
상조회사 폐업시 피해로부터 피해보상 신청할 수 있는 거 알고 계셨나요?
저도 몰랐는데 이번에 알게 됐습니다. 좋은 내용이라 생각돼서 공유해 드립니다.
상조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정당한 절차에 따라 피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피해구제 방법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피해보상금을 수령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회사의 유사한 서비스로 갈아타는 내상조 그대로 서비스가 있입니다.
피해보상금 수령
피해보상금을 수령하고 싶다면 보상기간인 3년 내에 피해보상을 신청해야 합니다.
상조회사가 등록취소 또는 직권말소 되는 경우 소비자는 해당 업체가 체결한 소비자 피해보상보험 계약 내용에 따라 선수금 보전기관을 통해 피해 보상금(선수금의 50%)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수령 절차와 방법은 선수금 보전기관에서 가입자에게 발송한 안내문서를 통해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주소지나 연락처가 변경된 경우 해당 선수금 보전기관에 알려서 피해보상을 신청하셔야 합니다.
피해보상금 수령의 단점과 장점
피해보상금은 50%의 보상금을 법으로 보호받아 돌려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말그대로 나머지 50%는 돌려받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내상조 그대로 서비스
피해보상금을 수령하는 대신에 기존에 가입한 상품과 유사한 서비스를 받기 원하는 경우, 내상조 그대로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등록취소 또는 직권말소된 상조업체를 이용한 소비자가 이전에 가입한 상품과 비슷한 상조서비스를 추가 부담 없이 제공하는 서비스로 2022년 2월 7일 기준 15개 상조업체가 참여 중입니다.
참여업체는 (주)경우라이프, (주)대명스테이션, 보람상조, (주)프리드라이프, 현대에스라이프(주), (주)교원라이프, 더리본(주), 부모사랑(주), 한라상조(주), (주)효원상조, 늘곁애라이프온(주), (주)더피플라이프, (주)JK상조, (주)한효라이프, 휴먼라이프(주)가 있습니다.
내상조 그대로 서비스 이용시 유의사항
폐업한 업체에 납입했던 금액 전부를 납입한 것으로 인정해 줍니다. 혹여나 추가납입을 요구하는 경우 확인하셔서 피해를 보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한편, 이전 상품에 대해 납입금이 남아있거나 기존 상품보다 고가의 상품에 가입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금액을 추가로 납입해야 합니다.
내상조 그대로 서비스의 단점과 장점
피해보상금으로 돌려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납입액 피해 없이 이전에 가입한 상품과 비슷한 상조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금전적으로 피해를 보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유리합니다.
피해보상금 vs 내상조 그대로
이제 두 가지 방식을 비교해봐야겠죠. 상조서비스를 앞으로도 계속 유지하기를 원하는 분은 내상조 그대로 서비스를 통해 타 업체의 유사 상조 서비스로 갈아타면 되겠습니다. 반대로 이번 상조회사 폐업 이후 더 이상 상조서비스를 받을 계획이 없다면, 50%의 손실은 감수하고 50%를 보상금으로 돌려받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피해보상대상이 아닌 경우
상조회사를 통해 상조(장례 또는 혼례) 상품이 아닌 크루즈 여행상품 등에 가입한 경우 할부거래법에 따른 피해보상 대상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경우에는 소비자가 납입금 반환소송 등을 진행할 수 있으며, 소송 절차와 방법에 대해서는 대한법률구조공단(국번없이 132)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조업체가 납입금의 50%를 실제 은행에 맡겨뒀는지 확인하는 방법
상조업체가 납입금의 50%를 은행에 맡겨두지 않으면 납입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으며, 내상조 그대로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추가 부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제 은행에 납입금의 50%를 맡겨뒀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KEB 하나은행은 빠른 조회 서비스에서 상조회사 예치금 조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B국민은행은 빠른조회에서 상조 예치금 조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신한은행은 간편 조회 서비스에서 상보 예치금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우리은행은 기타서비스에서 상조회사 예치금 조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조회사 폐업으로 피해를 입으신 분들께, 그리고 상조서비스에 가입돼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수령주식 찾는 방법 (0) | 2022.10.08 |
---|---|
IBK중기근로자우대적금 최대 연 6.0% 받는 방법 (0) | 2022.10.07 |
성조숙증 건강보험 적용 기준 (0) | 2022.10.06 |
청년몽땅정보통 개선 아이디어 공모전 신청방법 (0) | 2022.10.03 |
서울시 은둔청년 지원 사업 신청 방법 (0) | 2022.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