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실내 마스크 해제 기준 및 마스크 써야 하는 장소

by 관심모아 2023. 1. 31.
반응형

2023년 1월 30일부터 실내마스크 해제는 됐다고 하는데, 아직도 마스크 써야 하는 곳도 있다고 하고 헷갈리시죠? 실내 마스크 해제 기준과 마스크를 써야 하는 장소에 대해 알아봅시다.

마스크 해제 기준

시설이나 수단, 장소에 따라 해제가 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해제가 되기도 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장소별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의료기관 관련 시설

마스크를 써야 하는 곳

의료기관, 병원 내 헬스장, 병원 등 마스크 착용 의무 시설의 탈의실에서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마스크를 벗을 수 있는 곳

병원 1인 병실의 환자와 간병인은 마스크를 벗을 수 있습니다.

병원 등의 마스크 의무 착용 시설의 수영장과 목욕탕으로 탕 안이나 발한실, 샤워실 등에서는 마스크를 벗을 수 있습니다.

감염취약시설 중 입소형 시설의 다인 침실, 병실 등 사적인 공간에서는 마스크를 벗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료기관 관련 시설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는 착용해야 하지만, 과태료 부과 예외 상황이라고 합니다.

약국

마스크를 써야 하는 곳

약국에서는 마스크를 써야 합니다.

대형마트, 백화점, 쇼핑몰 등

마스크를 써야 하는 곳

대형마트 내의 약국에서는 마스크를 써야 합니다.

마스크를 벗어도 되는 곳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거나, 백화점이나 쇼핑몰에서 쇼핑할 때에는 마스크를 벗어도 됩니다.

대중교통

마스크를 써야 하는 곳

버스, 철도, 도시철도, 도선, 여객선, 택시, 항공기, 전세버스 등의 대중교통 이용시에는 마스크를 써야 합니다.

마스크를 벗어도 되는 곳

대중교통수단 승하차장, 지하철역, 기차역, 공항 등에서는 마스크를 벗을 수 있습니다.

유치원, 학교, 학원

마스크를 써야 하는 곳

유치원, 학교, 학원의 통학차량에서는 마스크를 써야 합니다.

마스크를 벗어도 되는 곳

학교, 학원, 어린이집 등의 교실에서는 마스크를 벗어도 됩니다.

한 줄 요약

한 줄로 정리해 보면 밀집도가 높은 곳, 감염 취약 시설에서는 마스크를 써야 하고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벗어도 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전기요금인상 비교 2023년 1분기 vs 2022년 4분기

금리도 올라서 여러가지로 힘드시죠? 전기요금이 또 오른다고 합니다. 2023년 1분기에는 13.1원/kWh 인상한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 확인해 보겠습니다. 2023년 1분기 전기요금 인상된 요금 먼저 살

ai.osg.kr

 

무료 로또 번호 받는 방법

로또 번호 무료로 받아도 어디에 적거나 하기 불편하지 않으셨나요. 번호 랜덤하게 무료로 받으시고, 이미지로 저장해서 OMR 카드 마킹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불편하신 분들 있을

ai.osg.kr

 

육아휴직 사후지급금 받는 방법

혹시, 육아휴직 끝내고 복직한지 6개월 지났는데, 사후지급금 챙기셨나요? 처음 육아휴직 할 때 휴직 마치고 6개월 지나야 나머지 25% 받을 수 있다는 얘기 이제 생각나시죠. 안 받아간 사후지급

ai.osg.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