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전기요금 아끼려면 누진제 꼭 체크하세요(2022년 10월 1일 기준)

by 관심모아 2022. 10. 9.
반응형

2022년 10월 1일부로 전기요금 올라서 다음 달 청구서에 얼마가 찍힐지 신경 쓰이시죠.

얼마전 제가 전기요금 절약 꿀팁에서 누진요금의 경계에 있는 분들은 신경 쓰시라고 잠깐 언급하고 지나갔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누진제가 어떤 식으로 적용되는지, 요금 차이가 어떻게 나게 되는지,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현재 시점의 누진제 기준과 요금을 알려드리겠습니다.

2022년 10월 1일 전기요금인상 누진제 기준 꼭 확인하세요

3줄 핵심 요약

하계에는 300kWh를 넘기지 않도록, 넘겼을 경우에는 450kWh는 넘기지 않도록 하는 게 유리합니다.

비 하계에는 200kWh를 넘기지 않도록, 넘겼을 경우에는 400kWh는 넘기지 않도록 하는 게 유리합니다.

그리고, 절대로 1,000kWh를 넘기는 슈퍼유저가 되지 마세요!

누진제 기준

하계는 무더위 때문에 에어컨 많이들 사용하시죠? 그래서 누진제 기준이 조금 더 높습니다. 이를테면 420kWh를 사용했을 때 요금 계산이 달라집니다. 어떻게 달라지는지 기준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하계 요금 기준

주택용(저압) 전기요금의 경우 1단계는 300kWh 이하 사용시 기본료는 910원/가구, 전력량 요금은 100.6원/kWh 입니다. 2단계는 300kWh초과~450kWh이하 사용시 기본료는 1,600원이며 전력량 요금은 195.2원/kWh입니다. 3단계는 450kWh초과 사용하는 경우 기본료 7,300원이며 전력량 요금은 287.9원/kWh입니다. 슈퍼유저단계인 1,000kWh초과 전력량요금은 716.8원/kWh가 적용됩니다.

하계 전력량요금/ 출처: KEPCO
하계 전력량요금/ 출처: KEPCO

하계 외 요금 기준

주택용(저압) 전기요금의 경우 1단계는 200kWh 이하 사용시 기본료는 910원/가구, 전력량 요금은 100.6원/kWh 입니다. 2단계는 200kWh초과~400kWh이하 사용시 기본료는 1,600원이며 전력량 요금은 195.2원/kWh입니다. 3단계는 400kWh초과 사용하는 경우 기본료 7,300원이며 전력량 요금은 287.9원/kWh입니다. 12월~2월 사이에 슈퍼유저단계인 1,000kWh초과 전력량요금은 716.8원/kWh가 적용됩니다.

하계 외 전력량요금/ 출처: KEPCO
하계 외 전력량요금/ 출처: KEPCO
계산기 사진

전기요금 계산 방식

우선, 기후환경요금이나 연료비조정액은 계산에서 제외하고 순수하게 누진요금이 계산되는 원리에 대해서만 설명해 드릴게요. 

제일 쉬운 게 예를 들어 설명하는 거죠. 아래 표를 통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사용 월 이용 전력량 계산식
8월 420kWh 기본료 1,600원
1단계 요금: 300kWh x 100.6원 = 30,180원
2단계 요금: 120kWh x 195.2원 = 23,424원
합계: 55,204원
9월 420kWh 기본료 7,300원
1단계 요금: 200kWh x 100.6원 = 20,120원
2단계 요금: 200kWh x 195.2원 = 39,040원
3단계 요금: 20kWh x 287.9원 = 5,758원
합계: 72,218원

위의 표를 보면 이용 전력량은 420kWh로 동일하지만, 하계인 8월에 사용했을 때에는 55,204원, 비하계인 9월에 사용했을 때에는 72,218원으로 무려 17,014원 차이가 납니다. 기본료는 5,700원이 더 나오게 되며, 전력량 요금은 11,314원이 더 나왔습니다. 가격 인상 전에 비하면 거의 7~8천원 정도가 더 나온 겁니다.

 

우선 8월의 경우 420kWh 중에 1단계인 300kWh까지는 사용한 300kWh에 해당하는 구간 요금인 100.6원을 곱해서 계산하게 됩니다. 나머지 120kWh는 2단계 요금인 195.2원과 곱해서 계산하게 되지요.

 

그런데 9월의 경우에는 구간의 폭이 짧으므로, 1단계인 200kWh까지는 100.6원을 곱해서 계산을 하게 됩니다. 나머지 220kWh 중에 200kWh가 2단계 요금인 195.2원과 곱해서 계산을 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남은 20kWh를 287.9원과 곱해서 계산하게 됩니다. 이제 원리는 명확하게 아셨죠.

 

반응형

슈퍼유저가 된다면?

슈퍼유저로 계산되는 하계 7, 8월, 동계 12, 1, 2월에는 1,000kWh 초과시 초과분에 대해 716.8원/kWh가 적용됩니다. 그 외의 달에는 1,000kWh를 초과해도 3단계 요금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사용 월 이용 전력량 계산식
8월 1220kWh 기본료 7,300원
1단계 요금 : 300kWh × 100.6원 = 30,180원
2단계 요금 : 150kWh × 195.2원 = 29,280원
3단계 요금 : 550kWh × 287.9원 = 158,345원
4단계 요금 : 220kWh × 716.8원 = 157,696원
합계: 382,801원
9월 1220kWh 기본료 7,300원
1단계 요금 : 200kWh × 100.6원 = 20,120원
2단계 요금 : 200kWh × 195.2원 = 39,040원
3단계 요금 : 600kWh × 287.9원 = 172,740원
4단계 요금 : 220kWh × 287.9원 = 63,338원
합계: 302,538원

1220kWh를 사용하면 일단 기본 30만원은 넘어가네요. 하지만 슈퍼유저 적용 기간에는 무려 8만원 정도의 요금이 더 나오네요. 여름에는 좀 많이 쓰니까 혜택을 줄 거라는 생각은 3단계를 넘어가지 않을 때 요즘 절감에 도움이 되고요, 1,000kWh 이상 마구 써버리면 폭탄 맞습니다.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멀티탭 스위치 꺼서 전기 절약

정리

이제 어떤 원리인지 아시겠죠?

3줄 핵심 요약 다시 한 번 기억하세요. 하계에는 300kWh와 450kWh를 넘지 않도록 해 주시고, 동계에는 200kWh와 400kWh를 넘지 않게 해 주세요. 하계와 동계 특정 기간에 절대 1,000kWh 이상 사용하지 마세요.

여기까지 읽으신 분들 꼭!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모두들 누진요금은 최소화해 보자구요!

 

 

전기요금 절약 방법 6가지 꿀팁

뉴스 보셨나요? 지금 한전 적자 메우려면 전기요금 8만원 인상해야 한다고 합니다. 심지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단계적으로 에너지 요금 인상 의지가 있음을 보였습니다. 어차피 전기요금 올

ai.osg.kr

 

전기요금 계산기

전기요금을 계산하고 누진요금을 확인해서 전기요금을 절약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save.osg.kr

반응형

댓글